문항 로직이란?
문항 로직을 통해 해당 문항에 응답자가 진입할 수 있는 조건과 응답 후 어느 문항으로 이동할지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문항 로직은 마우스로 버튼을 눌러서 작동하는 방식이 아니라, 고유의 문법과 연산자로 구성된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로직 문법 및 작성 방법을 알아봅니다.
로직 문법 및 작성 방법
구분 | 문법 |
---|---|
문항 | Q |
보기 | A |
또는 | OR |
그리고 | AND |
부정(~하지 않는) | NOT |
문항(Q)과 보기(A) 뒤에 현 문항에 진입해야 하는 응답 조건에 부합하는 문항 및 보기 번호를 작성합니다.
- 4번 문항에서 1번 보기를 선택한 응답자가 진입해야 하는 경우: Q4A1
현 문항에 여러 개의 진입 조건을 설정해야 하는 경우는 AND와 OR 연산자를 이용합니다. AND를 사용하면 두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응답자만 현 문항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OR 조건을 사용하면 두 조건 중 하나만 충족해도 진입할 수 있습니다.
- 4번 문항에서 1번 보기를 선택한 뒤 5번 문항에서 2번 보기를 선택한 응답자만 진입해야 하는 경우: Q4A1 AND Q5A2
- 4번 문항에서 1번 보기를 선택했거나 5번 문항에서 1번 보기를 선택한 응답자 모두 진입해야 하는 경우: Q4A1 OR Q5A1
문항/보기 이외의 연산자는 띄어쓰기로 구분해서 입력해야 정상 작동합니다.
- Q4A1ANDQ5A1 (X) / Q4A1 AND Q5A1 (O)
문항 로직 연산자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소문자로 입력해도 정상 작동합니다.
- Q4A1 AND Q5A1 (O) / q1a1 and q5a1 (O)
또한, 주관식 문항은 로직 설정 대상이 아니므로, 객관식 문항과 평가형 문항으로만 로직 설정을 해야 합니다.
🔔 TIPS
문항 로직 설정은 더욱 전문적인 설문 설계를 위해 유용한 기능이지만, 오픈서베이로 처음 문항을 편집하는 사용자라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문항 편집 페이지 우측 하단의 ‘채팅 상담()’ 버튼을 눌러 자유롭게 문의를 주시기 바랍니다.
자주 사용하는 문항 로직
아래에서 어떤 로직이 자주 사용되며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살펴봅니다. 아래 로직을 복사해서 현재 작성 중인 설문에 활용해 보세요.
① 둘 중 하나의 조건만 충족해도 현 문항에 진입시키기
- 응답 전 로직: Q2A1 OR Q2A2
- 로직 해석: 2번 문항에서 1번 보기나 2번 보기를 선택한 경우 현 문항으로 진입합니다. OR로 묶여 있어 두 조건 중 하나만 충족되어도 됩니다. OR 연산자를 더 이용해서 조건을 여러 개로 늘릴 수도 있습니다.
② 두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현 문항에 진입시키기
- 응답 전 로직: Q3A1 AND Q4A2
- 로직 해석: 3번 문항에서 1번 보기를 선택하고, 4번 문항에서 2번 보기를 선택한 경우 현 문항에 진입합니다. AND로 묶여 있어 두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합니다. AND 연산자를 더 이용해서 조건을 여러 개로 늘릴 수 있습니다.
③ 특정 조건에 해당하면 현 문항에 진입 못 하게 만들기
- 응답 전 로직: NOT Q4A1
- 로직 해석: 4번 문항에서 1번 보기를 선택한 경우 현 문항에 진입하지 못합니다. NOT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모든 경우에는 현 문항에 진입하게 됩니다.
④ OR과 AND를 함께 사용해서 복잡한 진입 조건 만들기
- 응답 전 로직: (Q4A1 OR Q4A2 OR Q4A3) AND (Q7A5 OR Q7A6)
- 로직 해석: 4번 문항에서 보기 1~3번 중 1개 이상을 선택하고, 7번 문항에서 보기 5~6번 중 1개 이상을 선택한 경우 현 문항에 진입합니다. 이렇게 응답 전 로직은 여러 연산자를 함께 사용해서 복잡한 진입 조건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